1부에서도 이야기했듯 ETF 투자 시 리스크(=위험)가 없는건 아닙니다. 주의해야 할 점들은 분명히 있어요. 금일 포스트에서는 1부에서 다루지 못했던 유의사항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TF에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점들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2021/02/24 - [챙겨볼까요] - [주식] ETF 투자 시 주의사항 1부. (Feat. 이크에크)
[주식] ETF 투자 시 주의사항 1부. (Feat. 이크에크)
어디에. 어떻게. 투자해야될지 잘 모르겠는 분들에게 ETF(=상장지수펀드)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운용하기 편하고. 수수료도 저렴하고. 분산투자의 성격까지 띄고 있어 상대적으로 안전
eekkka.tistory.com
목차. ○ ETF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 6. 장기 투자에 부적합한 ETF들이 있습니다. 7. 환율도 신경써야 해요 8. 선물을 추종하는 ETF는 조심해야 해요 ● 이크에크 한마디. |
○ ETF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
6. 장기 투자에 부적합한 ETF들이 있습니다.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를 꼽을 수 있죠. 레버리지 ETF는 특정 지수의 일 변동률을 두배 추종합니다. 그로 인해 지수 상승시엔 일반 ETF보다 큰 수익을 거두어들이죠. 물론 지수 하락시엔 더 큰 손실을 보게 됩니다. 레버리지의 뜻 그대로 지렛대를 활용하는 ETF죠
아시다시피 투자 시 50%의 손실이 발생했다면 이를 복구하기 위해선 100%의 수익을 거둬야합니다. 레버리지 ETF 또한 이 법칙에서 벗어날 수는 없어요. 등락을 반복하면 할수록 손해가 커집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수가 20% 상승해 100원이었던 레버리지 ETF가 120원이 되었다고 가정해보죠. 다음날 지수가 20% 하락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레버리지 ETF의 가격은 96원이 됩니다. 익일 지수가 다시 20% 상승한다고 해도 115.2원이 되죠. 120원이 되진 않습니다.
여튼 이렇게 20%. 동일한 지수로 등락을 반복하다보면 10일 후 최초 100원이었던 레버리지 ETF의 가격은 81.5원이 됩니다. 장기 투자에 왜 부적합하다고 한지 아시겠죠?.
※레버리지 ETF란? 레버리지. 지렛대라는 뜻을 가지고 있죠. 그 의미대로 차입(=빌려서 팜)과 파생상품(=선물/옵션 등)투자를 활용해 추종하는 지수와 기초자산의 변동폭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ETF입니다. 지수가 상승하거나 기초자산의 가격이 올라가면 보다 높은 수익을 볼 수 있겠지만 그 반대라면 소주 한병 사들고 한강 가야죠. |
7. 환율도 신경써야 해요.
ETF를 발행하는 자산운용사는 국내에만 있는 게 아니에요. 해외에도 있습니다 당연하겠지만 해외 자산운용사에서 발행한 ETF도 살 수 있구요. 여하튼 이같은 경우엔 지수뿐만 아니라 환율도 신경써야합니다.
예를 들어 해외 ETF가 추종하는 지수가 상승해 수익을 보았다해도 환율이 하락한다면?. 원화 상승으로 인해 환전 시 별다른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울겁니다. 환율 하락폭이 지수 상승폭보다 크다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죠.
이런 이유때문입니다. 환율을 생각하지 않고 해외 ETF에 투자했다 손실을 보는 경우들이 많거든요. 그러므로 해외 ETF에 투자하고자 할 경우엔 반드시 환율도 고려해야합니다.
8. 선물을 추종하는 ETF는 조심해야 해요.
선물을 추종하는 ETF는 선물의 만기일에 현물(=원자재/농산물/귀금속 등등)을 떠안지 않기 위해 만기일이 다가오면 해당 선물을 팔고 만기가 남아있는 선물을 새로 삽니다. 즉 롤 오버(=쉽게 말해 연장)를 하죠
그런데 말입니다. 기존 선물을 판 금액(=근월물 가격)보다 새로운 선물을 사는 금액(=차월물 가격)이 높다면?. 그 차액만큼 돈을 써야겠죠?. 이처럼 롤 오버를 하기 위한 비용이 지속적으로 쌓인다면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 간 괴리가 생기게 됩니다.
롤 오버 비용이 누적되어 현물과 선물간 괴리가 갈수록 커진다면 현물 가격 기준으로는 수익인데 선물 가격 기준으로는수익이 없거나 오히려 손해인 경우가 나타날수도 있어요. 원자재 ETF나 농산물 ETF 등등 선물을 추종하는 ETF를 거래할땐 주의하셔야 합니다.
※선물이란? 선 매매 후 물건 인도/인수의 약어이죠. 특정 상품이나 자산의 가격을 미리 정하고 미래의 일정 시점에 그 가격대로 사고 팔것을 약속한 거래입니다. |
● 이크에크 한마디.
1부에 이어 ETF에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주의사항들을 숙지한 뒤 ETF를 거래하는 것과
전혀 숙지하지 않고 ETF를 거래하는 것의 차이는 크겠죠?.
금일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ETF를 통해 계좌에 +++가 가득했으면 좋겠네요.
포스팅을 본 모든 분들의 앞날에 행운만이 있기를. 꼭 기원합니다.
'챙겨볼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단어] 합성 ETF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 2021.02.28 |
---|---|
[주식 단어] 블록딜? 블록딜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0) | 2021.02.26 |
[주식] ETF 투자 시 주의사항 1부. (Feat. 이크에크) (0) | 2021.02.24 |
[주식 단어] 괴리율?. 괴리율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Feat. ETF) (0) | 2021.02.23 |
[주식 단어] ETF 란?. ETF 가 무엇을 뜻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Feat. 상장지수펀드)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