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크에크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 현명한 주식 투자를 위해서는 자주 쓰이는 기본적인 용어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기본에 충실하지 않으면 결국엔 무너지게 되어 있죠. 이러한 이치는 주식 매매에 있어서도 통용되고 있습니다 금일 포스팅에선 호가란 무엇인지? 또 동시호가란 무엇인지? 확실하게 꼼꼼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드머니. 손절. 익절. 상한가. 하한가. 예수금. 공매도. 보합 등 다른 기본적인 용어들에 대한 해석을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 꾸욱 눌러주시면 됩니다.
2020/11/30 - [챙겨볼까요] - [주식 시작하기] 시드머니? 손절? 익절? 상한가? 하한가? 예수금? 기본적인 용어들 알아보겠습니다.
호가

네이버 어학사전을 통해 호가를 검색해보았습니다. 부를 호 자와 값 가 자로 이루어져 있네요.
풀이해보면? 가격을 부른다가 됩니다. 즉 무언가를 사고 팔기 위해 제시하는 가격을 호가라고 하는거죠
증권시장에서의 호가는 매매(=사고팔기)를 위해 제시하는 가격과 수량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주식을 매수(=산다)할때
부르는 가격과 수량을 매수호가라고 하며 주식을 매도(=판다)할때 부르는 가격과 수량을 매도호가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종목의 현재 시장가가 10000원이라고 해도 내가 9000원에 100개의 주식을 산다고 매수 호가. 부를 수 있습니다반대로 보유하고 있는 B라는 종목의 현재 시장가가 9000원이라고 해도 내가 11000원에 200개의 주식을 판다고 매도 호가를 부를 수 있는 것입니다 어렵지 않죠?
호가=매매(=사고 팔기)를 위해 제시하는 가격과 수량이다 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호가 단위
주식 시장에서 매매(=사고 팔기) 즉 주식 거래가 체결되기 위해선 매도자(=주식 판매자)와 매수자(=주식 구매자)가 부른 호가들이 만나야 합니다. 그리고 알다시피 주가(=주식 가격)는 하루에도 몇번이나 아니 수십. 수백번 바뀌죠
A라는 종목의 주가가 50만원이라고 가정했을때 A라는 종목의 주식을 일원 단위로 매매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득을 조금이나마 보고자 하는 매도자(=주식 판매자)들과 어떻게든 손실을 줄이고자 하는 매수자(=주식 구매자)들로 인해 1원단위 주문으로 호가창이 꽉 찰테고 매수. 매도 잔량 확인도 어려울뿐더러 호가 변동도 심해지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부를 수 있는 호가가 너무 많아지다보니 주식 매매가 체결되기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주식 매매의 활성화를 위해 단위 체계를 잡을 필요가 있게 되었습니다. 가격 단위 내에서만 호가를 부를 수 있는데요

위의 표처럼 주가(=주식가격)가 1000원 미만일 경우엔 1원 단위로 5000원 미만일 경우엔 5원 단위. 10000원 미만일 경우엔 10원 단위로 주가 단위가 높아질수록 호가 단위 또한 높아집니다. 원활한 매매를 위해서 말이죠
확실히 이해되었는지 한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라는 종목의 주가는 220.000원입니다. A라는 종목을 매수하기 위해 219.777원에 호가를 부를 수 있을까요?
없겠죠. 위 표에서도 보여지듯 100.000원 이상 500.000원 미만의 주식을 매매하기 위해선 500원 단위로 호가를 불러야 하기 때문이죠 219.500원으로 매수 호가를 부를순 있겠죠
증권 시장에서의 매매 활성화를 위해 호가 단위를 표준화했다 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동시 호가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동시호가를 검색하면 위와 같은 설명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권시장에서의 유가증권 매매거래 시 동시에 접수된 호가 또는 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를 말한다
맞는 말이죠. 하지만 주린이 분들의 경우 위의 딱딱한 설명문만으로는 이해가 어려울겁니다.
동시호가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기 위해선 주식시장에서의 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매매 원칙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살펴보겠습니다
주식 매매 체결의 원칙
주식시장에선 공평하고 합리적인 거래를 위해 매매 체결 원칙을 세워두고 있습니다.
아래의 4가지 원칙에 의해 매매가 이루어지게 되는데요 각 원칙에 대해 간단하게나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가격 우선의 원칙
자본주의 사회의 시장원리에 따라 가격이 유리한 주문을 우선적으로 체결한다는 원칙입니다. 가장 비싸게 매수호가를 부른 사람들이. 가장 싸게 매도호가를 부른 사람들이 우선적으로 매매 완료됩니다
● 시간 우선의 원칙
국내에서만도 6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주식 매매를 하고 있는데 같은 가격으로 매수 주문을 하거나 매도 주문을 하는 경우 비일비재하겠죠? 같은 가격대로 주문을 했을 경우엔 먼저 주문한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지게 됩니다.
단 1초라도 먼저 낸 주문을 우선적으로 체결한다는 원칙입니다. 먼저 주문한 사람이 우선인거죠
○ 수량 우선의 원칙
그런데 가격도 같고 주문시간도 같다면 누구에게 우선권을 줘야할까요? 부제가 수량 우선의 원칙으로 되어 있죠?
네 많이 주문한 사람이 우선권을 가져가게 됩니다 주문량이 많을수록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위탁 매매 우선의 원칙
국내에서의 주식 매매는 한국거래소에 회원으로 등록된 증권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국내에서 주식을 하는 모든 개인투자자는 직접 거래를 할 수 없다는 것이죠. 개인투자자는 증권사를 통한 위탁 매매를할 수 밖에 없는데요
증권사는 개인투자자들의 위탁계좌를 통한 매매 말고도 증권사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금으로도 주식 매매를 할수 있습니다.
가격대도 같고 주문시간도 동일. 주문 수량마저 같을 경우엔 증권사의 자기 매매 주문보다 고객의 주문을 우선적으로 체결한다는 원칙입니다. 단. 이 원칙은 동시호가 시간대에만 적용됩니다.
자. 동시호가 보다 쉽게 알아볼까요?

이 중 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를 말한다. 이 부분 달리 보이지 않나요?
동시호가란 주식 매매 체결의 원칙 중 시간 우선의 원칙을 무시하고 가격 우선의 원칙과 수량 우선의 원칙만을 적용하여 호가를 부르는 것이죠

국내에서는 정규장이 열리기 30분 전. 정규장이 닫히기 10분 전. 두 차례에 걸쳐 동시호가를 적용하는데요
동시호가가 적용되는 시간 동안 매수 주문. 매도 주문을 넣을 순 있습니다만 체결까지 이루어지진 않습니다.
동시호가가 적용되는 시간 동안은 호가와 수량 주문만 받을 뿐 정규 개장시간 그리고 정규 폐장시간에 맞추어 단일
가격을 적용하여 일괄적으로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동시호가 적용시간이 끝나며 당일 시가와 종가가 형성되게 되는데요.
※시가※
당일 정규장이 열리자마자 최초로 거래되는 시장가격을 시가라고 합니다.
동시호가가 적용되는 시간동안 (08 : 30 ~ 09 : 00) 매수주문과 매도주문이 가장 많이 겹치는 지점에서 당일 시가가 형성됩니다
※종가※
당일 정규장이 닫히기 직전 마지막으로 거래되는 시장가격을 종가라고 합니다
동시호가가 적용되는 시간동안 (15 : 20 ~ 15 : 30) 매수주문과 매도주문이 가장 많이 겹치는 지점에서 당일 종가가 형성됩니다.
동시호가 없어도 되는거 아닌가요?
한국에선 24시간 주식을 매매할 수는 없습니다. 정해진 시간동안 주식을 매매할 수 있죠. 그런데 주식 장이 닫힌 이후 큰 사건이 터진다면 다음날 주식 장이 열릴때 어떻게 될까요?
주문량이 폭주하겠죠?. 이럴때 순서대로 주문을 체결한다?. 전산이 마비될수도 있겠죠. 이처럼 기술적인 문제들로 매매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힘들뿐더러 심한 경우 주가(=주식가격) 왜곡이 일어날수도 있습니다.
또한 정규장 마감 직전에도 개인투자자들을 흔들기 위해 자금력이 월등한 세력들이 종가를 조작할수도 있겠죠
주식 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라도 동시호가 제도는 꼭 필요합니다.

이크에크 한마디
호가와 동시호가가 무엇인지 살펴보았습니다.
주식 매매를 시작한지 얼마 안된 주린이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보았는데요
소소하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성공적인 투자로 돈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챙겨볼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생각] 잃지 않는 주식투자. (Feat. 주식 초보) (0) | 2020.12.08 |
---|---|
[주식 시작하기] 증시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Feat. 주린이) (0) | 2020.12.04 |
[주식 단어] 시드머니? 손절? 익절? 상한가? 하한가? 예수금? 기본적인 용어들 알아보겠습니다. (0) | 2020.11.30 |
[주식 시작하기] 매매 실수 시 주문 정정 / 취소하기 (키움증권 HTS) (0) | 2020.11.25 |
[주식 시작하기] 세번째-주식을 사고 팔아봐요 (Feat. 기본만 / 키움증권) (2) | 2020.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