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크에크입니다.
목차 1. 인사말 2. RSS란 3. RSS를 제출해야 하는 이유 4. 이크에크 한마디. |
1. 인사말
이전 포스트에선 '사이트 맵'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사이트 맵' 이란 무엇인지. '사이트 맵을 왜 제출해야하는지' 에 대해 살펴보았죠.
'사이트 맵' 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2021/01/21 - [도움 드릴게요.] -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 맵?. 뭐지. 기본적인 단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포스팅에서도 설명했듯 '사이트 맵' 은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모든 페이지 목록들이 포함된 파일입니다. 본인 블로그 의 '사이트 맵' 은 본인 블로그의 목차라고 봐도 무방하죠.
또한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가 구글과 네이버. 다음과 같은 검색 사이트에서 누락 안되게 본인 블로그의 '사이트 맵' 을 제출해야 한다고도 이야기했습니다.
즉. '사이트 맵' 을 제출함으로 본인 블로그의 검색 누락을 막을 수 있고 방문자 유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검색 엔진 최적화에 큰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RSS' 도 마찬가지에요 'RSS' 를 제출해야 하는 이유는 '사이트 맵' 과 살짝 다르지만 'RSS' 를 웹마스터 도구에 제출함으로서 검색 엔진 최적화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는건 같습니다.
금일 포스팅에선 'RSS'가 무엇인지. 'RSS' 를 검색 엔진의 웬마스터 도구에 제출함으로서 얻는 이득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RSS 란
'RSS' 란 'Really Simple Syndicator' 의 약어입니다. 'Rich Site Summary' 로 불리우기도 하죠. 직역하자면 '매우 간단한 배급' '풍부한 인터넷 사이트 요약' 이 되겠네요
네이버 지식 백과에선 'RSS'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요?. 검색해보니 '웹 사이트 간에 자료를 교환하거나 배급하기 위한 XLM 기반의 포맷입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뭔가 충분치 않죠? 풀어서 설명해볼게요.
쉽게 이야기해 'RSS' 란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과 정보를 제공받는 사람간의 약속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본인의 블로그에 새로운 글을 발행한다면 'RSS''에 의해 본인의 블로그를 구독하고 있는 사람은 새로운 글이 올라왔음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거죠
.
이 같은 RSS는 언론사. 팟캐스트. 블로그. 등등 여러 웹사이트에서 쓰이고 있는데요. 그중 'RSS' 가 가장 많이 쓰여지고 있는 곳은 바로 블로그입니다. 블로그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다른 이들과 소통을 하게 됩니다. 혼자만의 취미로 블로그를 한다해도 시간이 흐르다보면 나의 글에 관심을 가지는 이들이 생기고 그들과 소통을 하게 되죠.
개 중엔 다른 블로거 분들도 있을테구요. 이러한 분들이 1-2명인 경우엔 소통이 어렵진 않습니다. 하지만 그 수가 수십 수백명에 달하게된다면? 그 분들이 쓴 글과. 댓글들을 일일히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확인하는데 걸리는 시간만.. 엄청나겠죠.
자. 이 같은 경우 RSS를 이용한다면 그분들이 쓴 글. 댓글들을 실시간으로 알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아. 블로그뿐만 아니라 타 웹사이트들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정리하자면 RSS는 웹사이트(=온라인 쇼핑. 네이버 뉴스. 블로그 등등)에서 새로운 글이나 이미지. 영상. 등이 올라오면 올라왔다고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3. RSS를 제출해야하는 이유
검색 웹사이트들의 검색 엔진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의 콘텐츠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검색 누락을 막기 위해 'RSS' 를 제출하는 건 아니에요. 하지만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 제출한다는 점에선 '사이트 맵' 과 다를 바 없습니다.
또한 검색 사이트들의 프로그램은 웹마스터 도구에 제출된 RSS를 하나의 콘텐츠로 보아 주기적으로 재방문합니다. 이같은 콘텐츠는 내 블로그의 주소를 담고 있기에 검색 프로그램에게 내 블로그의 주소를 적극적으로 알려주는 창구로 활용할 수 있죠.
쉽게 이야기하자면 검색 사이트를 통해 검색하는 사람들에게 내 블로그 주소를 보다 많이 노출시켜준다는 뜻입니다
이크에크 한마디.
'RSS' 란 무엇인지 'RSS' 를 왜 웹마스터 도구에 제출해야 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야기했듯 'RSS'를 제출함으로써
본인의 블로그 콘텐츠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노출시킬 수 있어요.
하지만 '사이트 맵' 을 다룬 포스트에서도 언급했듯 'RSS'를 제출한다고 하여 본인의 블로그를 방문하는 사람들의
수가 갑자기 확 늘어나진 않습니다.
꾸준한 노력을 기반으로 좋은 글들을 많이 발행했을 때 'RSS' 와 '사이트 맵' 제출이 빛을 발한다는 걸 명심하세요
금일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스팅을 읽은 모든 분들의 앞날에 행운만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구글 애드센스와 관련해 도움을 얻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들을 참조해보는건 어떨까요.
2021/01/11 - [도움 드릴게요.] - [구글 애드센스] 승인 거절 이후 재신청하는 방법.
2021/01/13 - [도움 드릴게요.] - [구글 애드센스] 카카오스토리 채널 개설하는 방법.
2021/01/15 - [도움 드릴게요.] - [구글 애드센스] 자동 광고 설정방법 (Feat. 수익 내보자구요)
2021/01/19 - [도움 드릴게요.] - [구글 애드센스] 카카오스토리 채널 연동하기 (Feat. 방문자를 늘려봐요)
'도움 드릴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내 티스토리 블로그를 진단해봐요 (VoL 2.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로 블로그 진단하기) (2) | 2021.01.26 |
---|---|
[구글 애드센스] 티스토리 블로그를 네이버에서도 검색되게 해봐요 (VoL 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하기) (0) | 2021.01.25 |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 맵?. 뭐지. 기본적인 단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 2021.01.21 |
[구글 애드센스] 카카오스토리 채널 연동하기 (Feat. 방문자를 늘려봐요) (0) | 2021.01.19 |
[구글 애드센스] 자동 광고 설정방법 (Feat. 수익 내보자구요) (2)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