챙겨볼까요

[주식 시작하기]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부 (Feat. 주가 이동평균선)

이크에크이크 2021. 4. 12. 16:12
반응형

주식 투자를 시작한지 얼마 안된 주린이 분들을 위해 이동평균선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해당 포스트에서는 주가 이동평균선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목차. 

○ 이동평균선. 

● 이동평균선 모습. 

○ 이동평균선 역할.

● 이동평균선 종류.

   1. 5일 이동평균선 (=5일선)

   2. 20일 이동평균선 (=20일선)

   3. 60일 이동평균선 (=60일선)

   4. 120일 이동평균선 (=120일선)

○ 이크에크 한마디.

 

 

참아름다운곳

 

 

 

○ 이동평균선.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치를 연결한 선을 뜻합니다. 3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점으로 표시하고 해당 점들끼리 연결하여 만든 선은 3일 이동평균선. 20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점으로 표시하고 연결해 만든 선은 20일 이동평균선이 되는 거죠.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이동평균선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3일 이동평균선을 만들어보도록 하죠. 


  04월01일 04월02일 04월05일 04월06일 04월07일 04월08일 04월09일 04월12일 04월13일
주식 가격 500원 600원 700원 800원 900원 1000원 1100원 1200원 1300원



▶ STEP 1. 3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구합니다. 


4월1일부터 4월5일까지의 주가 평균 값은 (500+600+700)÷3=600원입니다. 4월6일부터 4월8일까지의 주가 평균 값은 (800+900+1000)÷3=900원. 4월9일부터 4월13일까지의 주가 평균 값은 (1100+1200+1300)÷3=1200원입니다



▶ STEP 2. 3일간의 주가 평균 값끼리 연결해줍니다. 


3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점으로 표시하고 해당 점들끼리 연결해줍니다. 4월1일부터 5일까지의 주가 평균 값은 600원. 4월8일까지의 주가 평균 값은 900원. 4월13일까지의 주가 평균 값은 1200원이죠?.


600원. 900원. 1200원. 각 3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점으로 나타낸 이후 서로 연결해주면 4월1일부터 4월13일까지의 3일 이동평균선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참 쉽죠?


 


● 이동평균선 모습



각 증권사의 HTS와 MTS를 통해 이동평균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HTS를 통해 살펴볼까요?. 

 

출처는키움증권HTS입니다. 



▲ 검은색 동그라미로 표시해둔 선들이 바로 이동평균선입니다. 그리고 좌측 최상단 빨간색 네모칸 안을 보면 각 색깔 별로 숫자가 적혀져 있죠? 기간 별 이동평균선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표기된 겁니다. 


5는 분홍색. 10은 파란색. 20은 노란색. 60은 초록색. 120은 회색으로 나타나있죠?. 위 차트에서 분홍색 이동평균선은 5일 이동평균선. 노란색 이동평균선은 20일 이동평균선. 회색 이동평균선은 120일 이동평균선이라는 겁니다. 

 

 

○ 이동평균선 역할



위에서도 이야기했듯 이동평균선은 기간 별 평균 주가를 산출하여 만든 선 그래프입니다. 변동성이 높은 주가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만들었죠. 이동평균선을 통해 특정 종목(=기업)의 시장 가치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주가가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지. 어느 시점에서 변곡점이 형성될지 일정 부분 예측을 할 수 있죠. 기술적 분석(=거래량/주가 등을 분석해 앞으로의 시장을 예측하는 방법)을 통한 매매 시 하나의 지표로 사용되어집니다.

 

● 이동평균선 종류

 

1. 5일 이동평균선 (=5일선)



5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주말에는 장이 열리지 않으니 일주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되어요. 현재 주가와 가장 비슷하게 움직이기에 단기간 내 주가가 어떻게 움직일지 흐름을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5일선이 위쪽을 향하고 있다면 단기 상승추세임을.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면 단기 하락추세임을 알 수 있죠. 5일선이 수평에 가깝다면?. 단기 횡보추세이겠죠. 이같은 특성으로 인해 단기 매매를 주로 하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기술적 지표가 됩니다.

 

2. 20일 이동평균선 (=20일선)



20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주말간은 장이 열리지 않으니 한달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낸 값이죠. 짧지도 길지도 않은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낸 선으로 개인투자자들의 평단가를 가장 가까이 추종하는 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 참 20일선은 주가가 상승추세일 때 지지선 역할을. 하락추세일때 저항선 역할을 해줘요. 또한 5일선과 마찬가지로 단기간 추세 파악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 시 많이 보게 될 꺼에요. 


20일선은 짧지도 길지도 않은 적당한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내고 있기에 개인투자자들뿐 아니라 기관과 외국인 모두 관심있게 지켜보는 이동평균선이에요 달리 심리선이라 불리우기도 합니다. 투자 시 참고 많이 해야해요. 

 

 

3. 60일 이동평균선 (=60일선)



60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주말동안에는 장이 열리지 않으니 세달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중기 추세선이라 불리우기도 하죠. 아 참 수급(=수요와 공급)을 파악하기 좋아 수급선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주가가 60일선을 돌파했을 시엔 앞으로 상승추세를 기대해볼만 합니다. 반면 60일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깨졌을 경우에는 하락추세를 염두에 두는게 좋습니다. 

 

4. 120일 이동평균선 (=120일선)



120일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주말을 제외하면 6개월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내준다고 볼 수 있죠. 장기간의 주가 평균 값을 나타낸 선으로 장기 추세를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기업들의 반기(=6개월)결산 사이클과 함께하기에 경기선이라 불리우기도 하죠. 120일선의 돌파와 붕괴는 주가의 상승/하락 추세전환을 알리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너무예쁘게쳐다보는고양이

 


○ 이크에크 한마디. 



기술적 분석을 통한 매매 시 이동평균선은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또한 매수. 매도 시점을 잡는데 있어서도 용이하게 사용되죠.


하지만 이동평균선은 이미 지나가버린 예전의 주가 평균 값을 산출하여 만들어졌습니다. 후행성 지표이기에 한계점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100%의 예측은 불가능하다라는 거죠. 이 점 꼭 유의하셔야 합니다


금일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포스트를 읽은 모든 분들의 앞날에 행운만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반응형